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차장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한동훈 대표의 요구안이야 뭐 이미 언론에 다 나왔습니다만, 가장 관심은 김건희 여사 이슈겠죠? <br><br>김건희 여사 이슈가 이번 면담에서 여론의 가장 관심사이고, 활동 자제가 한동훈 대표 3대 요구안 중 하나였습니다. <br> <br>활동 자제의 수위도 이미 한 대표가 명확히 말했습니다. <br><br>"대선 당시 약속 대로 활동을 중단하라"입니다. <br><br>'중단'이란 표현에 방점이 있는 겁니다. <br> <br>공개적 행보는 하지 말라는 수준인 거죠. <br><br>Q2. 이 요구안을 대통령실이 과연 받을 것이냐. 이 부분이 결국 핵심이에요? <br><br>결론적으로 '중단'이란 수위를 대통령이 받아들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. <br><br>"영부인이 최근 특별히 활동한 게 있었는가?" 대통령실은 오늘 이렇게 되물었습니다. <br><br>마포대교 일정 같은 영부인 단독 일정이야 안할 수 있지만, 영부인으로서의 외교 등 공식 일정까지 전부 하지마라, 이런 요구는 선을 넘는 것이란 판단입니다. <br> <br>'중단' 보다는 '자제' 가 김 여사 행보 문제에 대한 마지노선이란 겁니다. <br><br>Q3. 다른 요구사항은 어떨까요. 한 대표 요구 중 인적쇄신도 있었습니다만? <br><br>여사활동 부분이 여론의 관심이라면, 인적쇄신 부분은 가장 면담 당사자들의 대립각이 가장 클 이슈로 보입니다. <br><br>한 대표는 김 여사 관련 대통령실 '인적쇄신'을 첫번째로 요구했습니다. <br><br>한 대표 측 오늘 통화를 좀 해보면, 인적 쇄신 부분을 가시적 성과가 나야할 가장 핵심으로 꼽았습니다. <br><br>Q4. 대통령실 분위기도 좀 취재가 됐나요? <br><br>인사는 윤석열 대통령이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고유영역입니다. <br><br>"인사는 대통령이 늘 누구보다 고민하는 부분이다" <br><br>한 대표 요구, 받을 수 있느냐에 대한 오늘 대통령실 내 답변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의 고유영역을 명확히 하면서 등떠밀리기 식 인사는 없다는 점을 우회적 밝힌 걸로 읽힙니다. <br><br>Q5. 인사 조치도 없다고 못을 박은 겁니까? <br><br>한 대표가 요구한 건 '김 여사 라인' 쇄신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의 답은 그런 라인 없다는 것이었습니다. <br><br>'대통령 라인'만 있다고 이미 말했는데, 이 시점에 인적쇄신 하면 '김 여사 라인'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꼴이 됩니다. <br> <br>다만, 대통령실 내에서는 연말쯤 내부 고위급 인사가 단행될 것이란 이야기들이 슬슬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연내 인사 가능성 자체를 닫아 놓을 수는 없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Q6. 한 대표는 요구 사항이 명확합니다. 대통령실도 혹시 만나면 할 말 같은 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<br><br>대통령이 직접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전달할 가능성은 적을 겁니다. <br> <br>비서실장도 배석하고, 또 대화가 깊어진다면, 대통령실도 한 대표에게 할 말 많을 거라는 시각도 있더라고요. <br><br>여권 관계자는 "야당의 가짜뉴스 공세는 수수방관하면서 용산 책임추궁에는 진심인 당 대표의 평론가식 정치에 대통령실도 할 말이 많은 것 같더라"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당 역시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을 인정하면서 대화가 흘러가야 성과가 있을 거라는 취지입니다. <br><br>Q7. 면담의 포인트는 이정도로 정리하면 될까요? <br><br>면담도 면담이지만, 저는 만남 이후 언론 발표 과정도 주목해야 한다고 봅니다. <br> <br>당은 한 대표가 언론에 결과를 직접 밝힐 것 같거든요. <br> <br>똑같은 대화 자리에 대한 결론이나 설명이 양쪽에서 다르게 나오거나, 대통령실이 이에 별도 발표를 하는 등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이미 양 쪽 만남 이후 이것이 기사화 되는 과정에서 서로 일종의 불신이 쌓여온 부분도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